'남극의 셰프' 4인방, 지구온난화 현실에 충격 "현 상황 보여주고파"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959 조회
- 목록
본문
기후환경 프로젝트 ‘남극의 셰프’(제작: STUDIO X+U, MBC)에서 백종원X임수향X수호X채종협이 상상을 초월하는 혹독한 남극 신고식을 거쳐 남극세종과학기지 ‘명예 대원’으로 입소했다. 17일 공개된 STUDIO X+U와 MBC의 ‘기후환경 프로젝트-남극의 셰프’ 첫 화에서는 백종원X임수향X수호X채종협이 기후 변화 연구의 최전선인 남극으로 떠난다. 네 사람은 최초로 ‘명예 대원’ 자격으로 남극을 방문하게 됐고, 펭귄마을, 세종기지 등을 방문한다. 수호는 “폭우가 내리다가도 폭염에 가까워지는 등 이상 기후를 보며 ‘지구 온난화 때문이구나’ 라는 걸 느끼고 있다. 남극에 가는 것 자체에서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낀다. 남극의 현재 상황을 잘 보여주고 싶다”라며 각오를 전했다. ‘남극 명예 대원’ 4인방은 남극에서의 생존을 위해 해상안전훈련, 소방안전훈련, 육상안전훈련까지 생존에 필요한 훈련을 받으며 남극 입성을 준비했다. 채종협은 “생존 훈련을 받다 보니 남극이 진짜 위험하구나 싶었다”라고 말했다. 만반의 준비를 마친 4인은 장시간의 비행 끝에 남극으로 가는 관문 도시 칠레 푼타아레나스에 도착했다. 푼타아레나스는 남극의 킹 조지 섬까지 비행기로 약 2시간밖에 걸리지 않는 지리적 특성이 있어, ‘입남극’을 위한 연구원과 탐험가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첫날 푼타아레나스 숙소에 짐을 푼 임수향은 “아직 남극은 아니지만 ‘내가 진짜 세상 끝에 와 있네?’ 싶어서 기대되면서 마음이 편했다”며 설레는 마음을 드러냈다. 그러나 2일 차에는 남극의 킹 조지 섬에 눈보라가 몰아쳤고, 3일 차에는 활주로에 살얼음이 꼈다. 4일 차까지도 활주로 여건이 좋지 않아, 남극행 비행기가 취소되며 ‘입남극’ 불가 결정이 났다. 계속된 불발로 명예 대원들은 좌절감에 휩싸였다. 그러나 5일 차에 다행스럽게도 입남극 확정 일정을 받았고, 비행편이 확정되자 그제야 명예 대원들도 활짝 웃었다. 명예 대원 4인방이 타고 있는 남극행 비행기는 남미 대륙을 지나 차원이 다른 설산의 규모를 자랑하는 남극 대륙, 킹 조지 섬에 도착했다. 남극에 첫 발을 내딛은 임수향은 “경이로워지는 마음이었다”며 감동했다. 수호는 “평생 다시 경험하기 힘든 순간이었다”며 오랜 기다림 끝에 어렵게 입성할 수 있었던 남극에 대한 인상을 전했다. 이어 세종과학기지로 이동하기 위해 명예 대원들은 고무보트에 탑승했다. 세종과학기지가 있는 ‘마리안소만’에 가까워지자 빙산이나 빙벽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얼음덩어리, 유빙이 포착됐다. 이들의 안전을 맡은 해상안전대원 권오석은 기후변화로 인해 빙벽이 무너져 내리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마리안소만에 대해 설명했다. 과거와 비교했을 때 이곳의 빙벽은 약 2km 후퇴한 것이고, 2025년 현재 기반암까지 드러났다. 네 사람은 지구 온난화가 미치는 변화에 직격탄을 맞은 남극의 위기를 직접 목격했다. 이어 백종원, 임수향, 수호, 채종협은 대한민국으로부터 17,240km 떨어진 남극세종과학기지에 도착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