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투어’가 이끈 하이브, 누적 2조원…BTS 복귀하면?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월드투어’가 이끈 하이브, 누적 2조원…BTS 복귀하면?

하이브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7272억원을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37.8%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기존 최고치였던 2024년 4분기(7264억원)를 넘어선 수치다. 1·2분기 연속 최고 실적에 이어 3분기까지 성장세를 이어가며, 누적 매출은 약 1조9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호실적의 견인차는 단연 공연 부문이다. 방탄소년단 진의 글로벌 솔로 투어,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엔하이픈(ENHYPEN)의 월드투어 등으로 직접 참여형 매출은 4774억원(전체 66%)을 기록했다. 공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2450억원을 기록했다.
음반 판매는 아티스트 컴백이 줄어 다소 감소한 반면, MD·라이선싱 부문은 70% 증가한 1683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간접 매출(2498억원)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투어 MD, 응원봉, IP 기반 캐릭터 상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판매고를 올렸다.
하이브의 멀티 홈·멀티 장르 전략은 성과로 이어진다. 글로벌 걸그룹 캣츠아이(CAT’S EYE)는 빌보드 ‘핫 100’ 37위, 그래미 어워즈 ‘Best New Artist’ 및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후보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3300만 명을 돌파했으며, 북미 13개 도시 16회 규모의 글로벌 투어는 전 회차 매진됐다.
한편 글로벌 팬덤 플랫폼 위버스(Weverse)는 3분기 누적 기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신규 광고 사업과 유료 멤버십 모델의 성장세 덕분이다. 위버스는 오는 18일 중국 QQ뮤직에 ‘위버스 DM’ 서비스를 오픈하며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다만 하이브는 3분기 422억원의 영업손실(영업이익률 -5.8%)을 기록했다. 글로벌 IP 확장을 위한 신규 아티스트 투자 및 북미 사업 구조 개편 과정에서 약 12%p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경준 CFO는 “단기적으로 수익성이 하락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팬덤 확장 기반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하이브의 K-팝 부문은 올해에도 10~1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4분기를 기점으로 비용 부담이 완화되고, 내년부터는 방탄소년단의 활동 재개와 함께 본격적인 수익 구조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kenny@sportsseoul.com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5,971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9,682
Yesterday 10,977
Max 14,868
Total 875,846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