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에 0:2→3:2, 세계가 놀란 '사무라이 블루'의 준비된 승리...한국 축구는 무엇을 배워야 하나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728 조회
- 목록
본문

닛칸스포츠 등 일본 현지 매체들이 15일 '사무라이 블루(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애칭)'의 브라질전 승리 소식을 전하며 내건 헤드라인이다. 13차례 A매치에서 2무11패로 절대 열세를 보였던 일본이 브라질을 상대로 두 골차를 뒤집고 3대2 역전승을 거둔 환희가 가시지 않고 있다.
1993년 J리그 출범 당시 일본이 이른바 '백년대계'의 목표 중 하나로 '2050년 월드컵 우승'을 내걸 때만 해도 모두가 코웃음을 쳤다. 당시만 해도 월드컵 무대조차 밟지 못했던 일본이었기에 당연한 반응이었다. 그러나 이제 일본의 '월드컵 우승 목표'는 조금씩 진지한 화두가 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선수 뎁스다. 현재 유럽 내 일본 선수는 100명이 넘는다. 201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 선수 중 '유럽 빅리그 주전급'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나카타 히데토시(AS로마), 혼다 게이스케(AC밀란) 정도가 그나마 두각을 나타낸 선수였다. 대부분 선수 이적료는 헐값이었고, 주전 자리를 잡아도 유럽 군소리그 정도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보 뿐만 아니라 엔도 와타루(리버풀), 가마다 다이치(크리스탈팰리스), 미토마 가오루(브라이턴), 스즈키 자이온(파르마), 도안 리츠(프랑크푸르트), 미나미노 다쿠미(AS모나코) 등 소위 '유럽 5대리그'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 이들 대부분이 빅리그-빅클럽 대신 군소리그 주전으로 출발해 실력을 증명하고 빅클럽으로 이적한 바 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이적 제의에 "주전으로 뛰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며 벨기에 신트 트라위던행을 택했던 스즈키가 대표적 케이스다. 여전히 일본 선수 중 한국처럼 손흥민(LA FC),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같은 월드클래스 선수는 없다. 그러나 이제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기 위해선 유럽에서도 단순 주전이 아니라 핵심 선수 정도로 뛰어야 선발 가능성이 생길 정도로 선수 뎁스가 두터워졌다. 워낙 선수 풀이 넓다 보니 모리야스 감독이 독일 뒤셀도르프의 일본축구협회(JFA) 유럽출장소에 상주하며 선수들을 체크하겠다고 밝혔다가 J리그 팀들의 반발로 물러섰을 정도다. 경쟁력 있는 선수를 골라 쓸 수 있는 환경이 완벽하게 구축되면서 자연스럽게 대표팀 경쟁력도 크게 올라갔다. 풍부한 뎁스를 바탕으로 나선 2022 카타르월드컵 조별리그에서 스페인, 독일에 잇달아 2대1 역전승을 거두며 자신감까지 얻고 완벽한 시너지가 일어났다. 이후 독일 원정 친선경기에서 4대1로 이긴 일본은 안방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두 골차를 뒤집고 승리를 거두기에 이르렀다.
일본도 발전 과정에서 우여곡절이 많았다. 모리야스 감독 체제, 협회 행정에 대한 의문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궁극적 목표인 '일본 축구 베이스를 통한 대표팀 경쟁력 강화'라는 장기적 목표에 초점을 둔 결과는 '월드컵 우승 목표'가 더 이상 허언이 아닌 것처럼 들리는 힘을 만들었다. 여러모로 한국 축구에 시사하는 바가 큰 일본 축구의 현주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