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4억' 중국도 못했는데 '52만' 카보베르데, 월드컵 진출 성공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인구 14억' 중국도 못했는데 '52만' 카보베르데, 월드컵 진출 성공

카보베르데 축구대표팀은 14일(한국시간)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프리카 예선 D조 최종전에서 에스와티니를 3-0으로 완파했다. 이날 승리로 7승 2무 1패(승점 23)를 기록한 카보베르데는 카메룬(승점 19)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 직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6개국씩 9개 조로 구성되며, 각 조 1위가 본선에 직행한다. 이로써 카보베르데는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 알제리, 가나에 이어 아프리카에서 여섯 번째로 북중미행을 확정했다.
역사상 첫 월드컵 진출이다. 1986년 FIFA에 가입한 카보베르데는 2002 한일 월드컵부터 꾸준히 예선에 도전했지만 매번 문턱을 넘지 못했다. 20여 년의 도전 끝에 마침내 본선 무대를 밟게 된 것이다.
카보베르데는 아프리카 대륙 서쪽 대서양에 위치한 15개 섬으로 구성된 군도 국가다. 15세기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편입된 뒤 500여 년 만인 1975년 독립했다. 면적은 4,033㎢로, 한국의 약 25분의 1 크기에 불과하다. 세계은행 기준 인구는 52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이는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인구 33만 명으로 돌풍을 일으킨 아이슬란드 이후 월드컵 본선에 오른 나라 중 두 번째로 인구가 적은 기록이다.
반대로 인구 14억 명의 중국은 이번에도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카보베르데의 FIFA 랭킹은 70위로, 인구 2,600배 많은 중국보다 24계단이나 높다. 숫자가 실력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카보베르데는 이미 아프리카 무대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내왔다. 2013년 네이션스컵(아프리카컵 오브 네이션스) 첫 출전에서 8강 신화를 썼고, 2023년 대회에서도 다시 8강에 오르며 '다크호스'로 주목받았다.
대표팀에 유럽 5대 리그(잉글랜드,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소속 선수는 단 한 명도 없다. 그러나 대부분이 포르투갈,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중소 리그에서 활약하며 꾸준히 성장했다. 이날 에스와티니전 선제골을 터뜨린 다일론 리브라멘투는 이탈리아 세리에A 베로나를 거쳐 현재 포르투갈 1부 리그 카사 피아에서 뛰고 있다.
작은 섬나라의 축구 열기는 뜨겁다. 수도 프라이아 국립경기장은 본선 확정 직후 붉은색 국기를 흔드는 팬들로 가득 찼고, 거리에서는 밤새 축하 행진이 이어졌다. 불과 1년 전, 카보베르데가 전 세계 스포츠 팬들의 입에 오르내린 건 올림픽 복서 다비드 데 피나가 파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국가 최초 메달리스트'가 됐을 때였다. 이번엔 축구로 다시 한 번 역사를 썼다.
한편, 이번 월드컵은 기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된 첫 대회로, 아프리카 지역에 총 9장의 직행 티켓이 배정됐다. 카보베르데는 그 9개의 자리 중 여섯 번째 주인공이 됐다. /reccos23@osen.co.kr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017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6,306
Yesterday 6,735
Max 7,789
Total 566,120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