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 경쟁도, 강등권 싸움도 '휘청'...무능한 VAR로 흔들리는 K리그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우승 경쟁도, 강등권 싸움도 '휘청'...무능한 VAR로 흔들리는 K리그

14일 축구협회 심판위원회는 프로 평가 패널 회의를 열고 K리그 주요 경기 판정을 검토했다. 논란의 중심에 섰던 건 지난 3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제주와 전북의 하나은행 K리그1 2025 32라운드. 전북 공격수 전진우가 페널티 박스 안에서 제주 수비수 장민규에게 명백히 발을 밟혔지만, 주심은 휘슬을 불지 않았다. VAR 판독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결과는 치명적이었다. 전북은 1-0으로 앞서던 상황에서 추가 골 기회를 잃었고, 후반 추가시간 동점골을 허용하며 승점 2점을 놓쳤다. 시즌 막판 승점 1점이 순위를 갈라놓는 시점에서, 이 판정은 단순한 ‘한 장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경기 후 거스 포옛 전북 감독은 소셜미디어에 "Not penalty, Not VAR, Not words(페널티도 아니고, VAR도 안 보고, 말도 안 된다)"라며 울분을 토했다. 팬들 사이에서도 "VAR이 왜 존재하느냐"는 비판이 폭발했다.
심판위원회는 이번 판정을 '오심'으로 결론 내렸다. 그러나 이후 설명은 더 큰 혼란을 낳았다. 위원회는 "당시 VAR실도 주심과 같은 견해를 보여 온필드 리뷰를 권고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즉, 주심이 "파울이 아니다"라고 판단하자 VAR실 역시 그대로 수긍하고 끝냈다는 것이다. 주심의 판단을 '보조하고 교정'해야 할 VAR이 오히려 '동조'하며 제 기능을 상실했다.
이런 구조가 반복된다면 리그의 공정성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시즌 막판 순위 경쟁은 단 한 번의 오심으로도 완전히 뒤집힌다. 우승 경쟁뿐 아니라, 치열한 강등권 싸움에서도 이 같은 판정이 나오면 리그 전체가 신뢰를 잃는다. 실제로 이번 오심으로 우승을 위해 박차를 가하는 전북도, 강등권 경쟁에서도 치쳘한 싸움을 이어가는 제주도 영향을 받게 됐다. 
협회는 이번 주 해당 심판진을 리그 배정에서 제외했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여전히 없다. '심판이 맞다고 하면 끝'이라는 시스템 아래서는 VAR이 존재해도 의미가 없다. 이제는 오심의 인정만이 아니라, 그로 인해 훼손된 리그의 형평성을 어떻게 복구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무능한 VAR'이 또다시 침묵한다면, 다음 오심은 단순한 논란이 아니라 K리그 판도를 바꿔놓는 재앙이 될 수 있다. /reccos23@osen.co.kr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473 / 6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7,093
Yesterday 6,057
Max 7,789
Total 580,025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