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에 딱 맞는 FA 대어는 박찬호? 서울팀·원소속팀 프리미엄 이기려면 큰 베팅 필요한데...과연 지갑 열까 [스춘 이슈분석]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롯데에 딱 맞는 FA 대어는 박찬호? 서울팀·원소속팀 프리미엄 이기려면 큰 베팅 필요한데...과연 지갑 열까 [스춘 이슈분석]

[스포츠춘추]
롯데 자이언츠는 올해도 7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실망스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하위권 단골 동반자였던 한화 이글스는 2위로 홈에서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있는데, 사직구장엔 쓸쓸한 가을바람만 분다. 시즌 중반까지만 해도 안정적인 3위를 달리며 더 높은 곳을 노렸지만, 8월 이후 브레이크 없는 추락을 거듭한 끝에 7위로 마감했다. 김태형 감독 부임 첫해인 지난해도 7위, 올해도 7위. 두산 감독 마지막 해까지 포함하면 3년 연속 가을야구 실패다. 김 감독 개인적으로도, 롯데 팀으로서도 어느 때보다 위기감과 절박함이 감돈다. 롯데의 전반기 득점-실점으로 구한 피타고라스 기대승률은 0.472에 불과했다. 그러나 실제 승률은 0.547로 기대승률보다 훨씬 높았다. 롯데가 전반기 3위를 달린 비결이다. 144경기를 마친 롯데의 최종 실제 승률(0.478)은 전반기 기대승률(0.472)과 거의 일치한다. 어쩌면 이 승률이 롯데의 진짜 실력이었는지 모른다. 롯데 핵심 관계자도 "우리 전력에 부족한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며 보강 필요성을 밝혔다. 내년 시즌 도약하려면 올겨울 전력 보강은 필수다. 트레이드, 2차 드래프트, 외국인 선수 교체부터 FA 영입까지 모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 가운데 가장 확실한 임팩트를 가져올 방법은 단연 FA 영입이다. 김태형 감독 부임 이후 2년간 롯데는 외부 FA 영입이 하나도 없었다. 김 감독이 오기 전 영입한 유강남, 노진혁, 한현희와 총액 170억원의 FA 계약을 체결하면서 샐러리캡이 꽉 차서 운신의 폭이 아주 좁았다. 최근 샐러리캡 제도 완화로 조금 숨통이 트였다. KBO 이사회 의결로 2026년 샐러리캡 금액이 증액됐고 위반 시 벌칙도 완화됐다. 아울러 7시즌 이상 소속 선수 1명을 경쟁균형세 총액 산정에서 제외하는 이른바 '래리 버드 룰'까지 생겼다. 이에 샐러리캡 압박에서 벗어난 롯데가 올겨울에 다시 한번 큰손으로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일각에서 조금씩 나오고 있다. 다만 롯데가 실제로 지갑을 열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모그룹의 상황이 변수다. 롯데그룹은 최근 계열사 실적 악화, 내수 부진, 유통업계 부진으로 과거처럼 자금을 과감하게 지원할 상황이 아니라는 게 야구계 중론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룹 사정과 구단의 FA 참전이 반드시 일치하는 건 아니지만, 대체로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며 "현재 외부에 비춰지는 롯데의 상황으로 볼 때 얼마나 적극적인 투자가 가능할지는 다소 의문"이라고 전했다. 롯데가 지난 FA 고액 영입에서 실패한 이후 윗선에서 FA 투자에 부정적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김태형 감독이 계약 마지막 해를 맞는다는 점도 변수다. 롯데 구단은 김 감독 부임 이후 2년간 현장에 전권을 맡기고 지원하는 역할만 했다. 그러나 2년간 만족할 만한 성과는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현장의 힘이 빠지고 프런트가 다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할 타이밍이다. 계약 마지막 해인 사령탑에게 FA 영입으로 힘을 실어줄지는 미지수다. …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368 / 2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3,080
Yesterday 6,057
Max 7,789
Total 576,012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