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욱 미친 17구 승부까지, 올해 준PO는 역사적 신기록 시리즈… 오늘은 이 선수가 첫 역사 쓰나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7,130 조회
- 목록
본문

1차전에서는 이재현이 진기록을 만들었다. 이날 1회초 경기 선두 타자로 등장한 이재현은 SSG 선발 미치 화이트의 초구 패스트볼을 잡아당겨 좌측 담장을 넘겼다. KBO리그 포스트시즌 역사상 1회초 선두 타자가 그것도 초구를 받아 쳐 홈런을 친 것은 이재현이 처음이었다. 보통 경기 선두 타자는 최대한 상대 투수의 공을 보려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더 그렇다. 앞으로 같은 기록이 나올지 장담하기 어려운 진기록이었다. 2차전에서는 SSG가 반격했다. 선발로 나선 김건우가 일을 냈다. 경기 시작부터 긴장감을 날리고 위력적인 구위를 선보인 김건우는 이날 경기 개시 후 첫 여섯 타자를 모두 삼진으로 잡아내는 괴력을 쓰며 역시 포스트시즌 신기록을 세웠다. 김건우는 1회 이재현 김성윤 구자욱을 모두 패스트볼로 삼진 처리하더니, 2회에는 디아즈를 패스트볼로, 김영웅을 슬라이더로, 그리고 김헌곤을 체인지업으로 삼진 처리하며 새 역사를 썼다. 종전 기록은 키버스 샘슨(당시 한화)이 2018년 세운 5타자 연속 삼진이었다. 여섯 타자 연속 삼진을 잡는다는 것은 위력적인 구위도 필요하지만, 상대 타자의 인플레이타구를 단 하나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다소간의 운도 필요하다. 김건우의 기록 또한 언제 누가 깰 수 있을 것이라 장담하기 어렵다. 3차전에서는 대구고 선·후배 사이인 구자욱(삼성)과 이로운(SSG)이 진기록을 만들었다. 이날 5회 맞대결을 벌인 두 선수는 17구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다. 이로운이 초구와 2구를 모두 볼로 던지며 볼카운트에서 몰렸지만, 3구 패스트볼로 스트라이크를 잡은 뒤 4구는 파울을 얻어내 2B-2S 승부가 이어졌다. 여기서 구자욱이 끈질기게 버텼다. 정타를 만들어내지는 못했지만 수많은 파울을 치며 이로운을 괴롭혔다. 4구부터 10구까지 7구 연속 파울을 쳤다. 패스트볼과 체인지업 모두를 걷어냈다. 11구가 볼이 되면서 풀카운트가 됐는데 두 선수 모두 물러서지 않았다. 다시 12구부터 16구까지 파울이 됐다. 구자욱도 대단했지만, 계속 스트라이크존을 공략한 이로운 또한 만만치 않았다. 결국 17구째 체인지업이 구자욱의 방망이를 헛돌게 하며 이로운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 또한 포스트시즌 역사상 가장 긴 승부로 남았다. 계속 파울을 치며 버틴 구자욱, 그리고 볼넷을 내주지 않고 끈질기게 버틴 이로운 모두 역사의 주인공으로 남았다. 이렇게 1차전부터 3차전까지 각각 한 경기에 하나씩 신기록이 나온 가운데 4차전에서도 신기록이 나올 수도 있다. 유력한 후보는 SSG 거포 자원인 고명준이다. 고명준은 1차전에서 7회 김태훈을 상대로 투런포를 치며 시동을 건 것에 이어, 2차전에서는 2회 가라비토를 상대로 선제 솔로포를 터뜨렸다. 그리고 3차전에서는 9회 배찬승을 상대로 추격의 투런포를 터뜨리며 세 경기 연속 홈런포를 기록했다. 2021년 신인드래프트에서 팀의 2차 2라운드(전체 18순위) 지명을 받은 고명준은 2022년 한국시리즈나 2023년 준플레이오프 엔트리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유망주 신분이었고 무릎 부상도 있었다. …